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날짜를 계산하는 함수 Date 객체 1. 두 날짜 사이의 일 수 계산하기 :function calculateDaysBetweenDates(date1, date2) { // Date 객체로 변환 const d1 = new Date(date1); const d2 = new Date(date2); // 밀리초 단위로 계산 const timeDifference = Math.abs(d2 - d1); // 하루의 밀리초 수 (1000밀리초 * 60초 * 60분 * 24시간) const millisecondsInADay = 1000 * 60 * 60 * 24; // 일 수 계산 const daysDifference = Math.ceil(timeDifference / millisecondsInADay); .. 더보기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 이 글은 제로초님의 강의 '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자료구조(with JavaScript)' 를 듣고 정리하였습니다. 출처 : https://www.zerocho.com/category/Algorithm/post/58008a628475ed00152d6c4d 목차 연결리스트란? 연결 리스트는 배열과 다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이 없다고 생각한 후에 연결리스트 개념을 공부해보자) 배열처럼 메모리상에 index에 의한 물리적 배치를 하지 않고, node를 생성 후 해당 node의 pointer에 의해 다음 node를 연결한다. 즉, 여러 node들이 연결되어있는 선형적 데이터 구조다. 이를 통해 연결 리스트는 데이터 삽입/삭제시 데이터의 구조를 재정렬하지 않아도 된다. 💡노드(node)란? 연결리.. 더보기 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 이 글은 제로초님의 강의 '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자료구조(with JavaScript)' 를 듣고 정리하였습니다. 출처 : https://www.zerocho.com/category/Algorithm/post/57ea2987fdea850015313534 목차 시간복잡도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평균적으로, 또는 최악의 경우 얼마 만큼의 시간이 걸리는 지 보여주는 것. (💡 공간복잡도란? 알고리즘이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잡아먹는 지 보여주는 것) 그렇다면 알고리즘의 로직을 코드로 구현할때, 시간복잡도를 고려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알고리즘의 로직을 코드로 구현할때, 시간복잡도를 고려한다는 것은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때 연산 횟수에 비해 시간이 얼마만큼 걸리는가?" 라는 말이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