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썸네일형 리스트형 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 이 글은 제로초님의 강의 '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자료구조(with JavaScript)' 를 듣고 정리하였습니다. 출처 : https://www.zerocho.com/category/Algorithm/post/57ea2987fdea850015313534 목차 시간복잡도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평균적으로, 또는 최악의 경우 얼마 만큼의 시간이 걸리는 지 보여주는 것. (💡 공간복잡도란? 알고리즘이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잡아먹는 지 보여주는 것) 그렇다면 알고리즘의 로직을 코드로 구현할때, 시간복잡도를 고려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알고리즘의 로직을 코드로 구현할때, 시간복잡도를 고려한다는 것은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때 연산 횟수에 비해 시간이 얼마만큼 걸리는가?" 라는 말이다.. 더보기 이전 1 다음